top of page

Chem_NK 세포 분비물이 가지는 치료능 규명


Chem_NK 세포 분비물은 다른 NK세포의 종양 표적능을 향상시켜 항종양 효과 증가

면역보조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게재된 종양면역학 연구팀(저자 조서현, 최승희 외)의 논문
▲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게재된 종양면역학 연구팀(저자 조서현, 최승희 외)의 논문

지난 2025년 3월, 차의과학대학교 종양면역학 연구실(조서현, 최승희 외) 연구팀의 논문이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IF 10.1, BMJ 발행)에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은 "Boosting tumor homing of endogenous natural killer cells via therapeutic secretomes of chemically primed natural killer cells" (교신저자 박경순)으로, 이전에 발표된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 25kDa bPEI(이하 PEI)를 이용한 기능 강화 NK 세포치료제(Chem_NK)의 후속 연구다. 이번 연구에서는 Chem_NK가 분비하는 secretome의 항암 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팀은 Chem_NK를 투여한 마우스 모델에서 종양 내 내인성 NK 세포의 침윤이 증가한 것에 주목해, Chem_NK의 분비물에 집중하였다. 분석 결과, Chem_NK의 secretome은 대조군 NK 세포에 비해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NK 세포의 ERK 신호를 활성화하여 케모카인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Chem_NK의 분비물로 '교육된' NK 세포는 종양 유래 케모카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종양을 더 효과적으로 표적화할 수 있었으며, in vivo 모델에서 높은 종양 전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특히, NK 세포 자체를 주입하지 않고도, 기존에는 폐기되던 배지를 활용하는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맞춤형 면역치료제나 병용 요법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연구팀은 앞으로 Chem_NK secretome이 다른 면역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규명하여, 종양 미세환경 내에서의 면역 조절 역할을 폭넓게 연구할 계획이다.


조서현 연구원은 석사 학위 취득 후 현재 방사선 치료제를 기반으로 한 종양 치료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승희 박사는 종양면역학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서 연구에 매진하며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Seohyun Cho, Seung Hee Choi, Eunchong Maeng, Hail Park, Ki Seo Ryu, Kyung-Soon Park - Boosting tumor homing of endogenous natural killer cells via therapeutic secretomes of chemically primed natural killer cells: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025;13:e010371.

©2021 by Lab of immuno-oncology.

bottom of page